영화 Rogue One에 관한 사소한 사실들 - 0편

2 분 소요

영화 Rogue One의 결말은, 원래 지금과 달랐습니다

  • 스타워즈는 각각의 시리즈의 아름다움을 논하기보다, 시리즈가 연결되어 만들어낸 세계관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클래식 시리즈인 에피소드 4, 5, 6은 물론 프리퀄 시리즈인 1, 2, 3도 연출적으로 뛰어나다고 보기는 좀 힘든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저는 조지 루카스가 대단한 감독이라고 생각하지는 않거든요.
  • 다만, 스타워즈 7은 시리즈를 새로운 감각으로 리부트 하였고 올드팬과 뉴팬의 감성을 모두 사로잡을 수 있는 괜찮은 작품이며, 스타워즈 8은 올드팬의 마음을 저버렸다는 점에서는 아쉬움이 있더라도 새로운 시작에 대해서 지지할 수 있을 정도는 됩니다.
  • 그리고, 올드 팬을 제대로 저격하면서 스타워즈 세계의 외연마저 넓힌 작품이 바로 스타워즈 <로그 원>이죠. 스카이워커 가문 중심으로만 스타워즈의 서사에서 그 외에 ‘반항군’이 있었다는 것을 묘사했을 뿐 아니라, 다스베이더의 무쌍 장면을 넣음으로써 올드팬의 낭만을 제대로 저격해버렸죠. 으 말하니까 또 보고 싶네요.
  • 아무튼, 영화 <로그 원>에 대한 사소한 이야기들을 정리합니다. 그리고, 이 영화의 결말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 판단에서는 이 영화는 미리 결말에 대한 내용을 알더라도(사실 전형적으로 흘러가기도 하므로),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영화에 대해서 아무 정보 없이 영화를 보는 것을 좋아하신다면, 이 글을 읽지 않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Trivia - Same guilt factor

Jyn’s father, Galen is modeled after J. Robert Oppenheimer, the father of the atomic bomb.

  • 진(Jyn)의 아버지, Galen은 원자 폭탄의 아버지인 오펜하이머를 본 따서 만들어졌다.
  • is modeled after: ‘~무엇을 본떠서 만들다’라는 의미입니다.
    • ex) This model looks a little familiar to me. What is it modeled after?

Both men share the same guilt factor of becoming an agent of death for building a weapon of mass destruction.

  • 두 남자들은 대량 살상(Mass destruction) 무기를 만들어 죽음의 중개인(agent of death)이 되었다는 것에 대해 양심의 가책(guilt factor)을 공유한다.
  • guilt factor: 직역을 한다면, ‘유죄 요소’가 되겠지만, 우리나라 표현으로는 ‘양심의 가책’이라고 하는 것이 깔끔한 번역일 것 같습니다.
    • ex) Now, you see the castrophic situation you have made. You didn’t have any responsiblity for doing this. So, you still don’t have any guilt factor?

Trivia - Kill off the characters

In the first draft of the screenplay, Jyn and Cassian survived the events of the film, despite director Gareth Edwards wanting all of the heroes to die.

  • 영화 극본(screenplay)의 초판에서는 Gareth Edwards 감독은 모든 영웅들이 죽기를 바랐지만, Jyn과 Cassian이 영화 상에서 살아남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 screenplay: ‘영화 극본’을 의미하며, 같은 의미로 script도 있죠. 평소에 사용하는 자막은 ‘subtitle’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 scenario vs. screenplay: 우리나라 표현으로는 그냥 ‘시나리오’라고 할 때도 많은데요. 엄밀히 따지면,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진다고 Stackexchange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시나리오는 ‘전체 이야기에 대한 개요(outline)’고, 스크린플레이는 ‘자세하게 쓰인 영화 극본’이라는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물론, 사실 평소에 쓸 때는 큰 차이 없이 그냥 써도 괜찮을 것 같아요.

After speaking with Kathleen Kennedy and executives at Disney, he expressed this opinion and to his surprise, Kennedy agreed and gave him permission to kill off the characters.

  • Kathleen Kennedy프로듀서와 디즈니의 간부들에게 말한 뒤에, 그는 그의 의견을 표현했고, 놀랍게도 케네디는 동의하여, 그에게 그 캐릭터를 죽일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
  • to one's surprise: ‘놀랍게도’라는 의미죠. 비슷하게, ‘to my disappointment/joy/sadness’와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 ex) To my sadness and disappointment, he didn’t agree with my opinion at all.
  • give somebody pemission to: ‘~할 수 있는 권한을 주다’라는 의미입니다.
    • ex) You never give me any permission to do something freely. Then if I decide to do something without your permission, even though it is the right and only way to do, you scolded me a lot.
  • kill off: 그냥 kill의 확장된 의미로 ‘죽이다’라는 의미로도 쓰입니다만, 그보다는 ‘생명이 아닌 것들을 전부 없애버리다’에 가깝게 사용됩니다. 즉, ‘세균/방해가 되는 것들/가상인물들을 모두 없애다’가 좀 더 정확한 의미인 것이죠.
    • ex) You should kill off every thought in your head which is not helpful to focuse on your current work.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