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투수의 지표들을 알아봅시다.
투수는 어떻게 평가되어져야 할까요.
- 사실 타자는 상대적으로 기록을 이해하기가 쉬운 반면, 투수는 조금 어려운 느낌들이 있어요. 이 참에 잘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 W(승, Win): 투수의 승리를 말할 수도 있고, 팀의 승리를 말할 수도 있습니다. 승리 투수의 요건은 보통 다음과 같은데요.
- 선발 투수가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5회 이상 투구를 한 뒤 물러나야 하며, 교체 당시에 팀이 리드하고 있고, 그 리드가 경기 종료까지 유지되는 경우
- 선발 투수가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구원투수가 다음 조건에 따라 승리를 가져가게 됩니다.
- 선발 투수가 5이닝을 채우지는 못했으나, 리드를 유지한 채 교체된 경우: 이후 가장 효과적인 투구를 했다고 평가되는 구원투수에게 승리가 주어집니다(단, 이 ‘효과적인 투구’라는 것은 기록원이 판단을 하게 됩니다)
- 어떤 경우든 리드가 유지되지 못한 채 선발 투수가 교체된 경우: 보통 구원 투수가 던질 때 리드를 획득했다면, 해당 투수에게 승리가 주어집니다.
- 선발 투수가 5이닝을 채우지 못했고, 리드도 유지하지 못한 경우: 리드를 유지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어떤 투수도 승리투수가 될 수 없습니다. 이후 특정 투수 이후 리드가 유지되면, 리드 이후 투수 중에서 ‘효과적인 투구’를 한 투수에게 승리가 주어집니다.
- 선발 투수가 5이닝 이상을 채웠으나, 리드를 유지하지 못한 경우: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리드를 유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선발 투수는 승리 투수가 될 수 없고, 구원투수 중에서 승리 투수가 결정됩니다.
- L(패, Lose): 투수 기록과 팀 기록에 모두 쓰며, 투수가 자기 실점으로 팀이 뒤진 상태에서 교체된 뒤 팀이 역전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투수가 패전 투수가 됩니다.
- 선발투수가 팀이 지고 있는 상태에서 교체되었다면, 선발투수가 패전 투수가 되고,
- 선발투수가 리드하고 있는 상태에서 교체된 다음, 구원 투수에 의해 리드가 빼앗긴 다면, 구원 투수가 패전 투수가 됩니다.
- R(실점, Runs allowed): 타자 기록에서는 득점이지만, 투수의 기록에서는 실점이 됩니다.
- ER(자책점, Earned Runs): 단 여기서도, 자책점/ 비자책점이 나뉘는데, 야수들의 실책과 포수의 포일(포구 실책)으로 인한 실점을 제외한 것을 자책점이라고 합니다
- IP(이닝 수, Innings Pitched): 투수가 던진 이닝의 수를 의미합니다.
- 규정이닝: 보통 평균 자책점(ERA)왕을 찾을 때 정규이닝에 속하는 선수 중에서 고르게 되는데, 투수의 정규이닝은 팀의 경기 수 * 1로 계산이 됩니다. 보통 5일에 한번 등판하는 선발 투수들의 경우는 등판시에 5이닝 이상은 먹어줘야, 또 부상등으로 로테이션을 거르는 일이 없어야, 규정이닝 획득할 수 있겠네요.
- 즉 이를 다시 말하면 마무리 투수가 평균 자책점 왕이 되려면, 모든 경기에 등판하여 1이닝씩 먹어줘야 한다는 말이 됩니다…선발 투수가 아닌 투수들이 규정이닝을 만족했다면 약간 문제가 있는 팀 운용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CG(완투, complete game): 선발 투수가 경기 종료(연장까지 포함하여)까지 혼자 투구를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완투를 해도 질 수 있습니다ㅠㅠ
- ShO(완봉, Shutout): 셧아웃, 이름부터 멋있네요. 실점없이 완투를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상대를 봉인한 거죠.
- SV(세이브, Save): 세이브 또한 승리 만큼 복잡한데요. ‘승리’와 마찬가지로 ‘세이브’ 또한 한 명의 투수에게만 부여됩니다. 또한 승리와 세이브는 한 투수가 모두 획득할 수 없습니다. 세이브는 보통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투수에게 줍니다.
- 자기 팀이 승리를 얻은 경기를 마무리한 투수
- 승리 투수의 기록을 얻지 못한 투수
- 다음 주 무엇이든 해당되는 투수
- 자기 팀이 3점 이하의 리드를 하고 있을 때, 출전하여 최소한 1이닝을 투구하였을 경우
- 베이스에 나가 있는 투자 또는 상대하는 타자, 또는 그 다음 타자가 득점하면 동점이 되는 상황에서 출전한 경우
- 최소한 3회를 효과적으로 투구하였을 경우(야구 룰에는 이러한 ‘효과적’이라는 말이 많은데, 만약 3이닝을 투구하였다고 해도 지나치게 실점을 많이 하는 등 내용이 나쁘면 기록원의 판단 여하에 따라 세이브를 인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정리를 하면, 경기를 마무리한 투수 중에서, 승리 투수가 아니고, 위기상황(3점 이하의 리드, 동점위기)에 등판하였거나 잘 막은 선수에게 주어집니다. 단 ‘세이브’는 승리와는 다르게 항상 발생하는 건 아닙니다. 그래서 가끔 여유있는 상황에서 안영명이 실점하여 정우람이 등장하게 되면, ‘세이브조작단’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죠.
- HLD, HD(홀드): 야구에서 가장 중요한 건 투수입니다. 현대 야구에서는 투수의 분업화가 추구되고, 따라서 선발투수-중간게투-마무리 라는 라인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세 역할 중에서 특별히 취약한 부분이 있는 팀은 항상 고전합니다(기아의 경우는 마무리, 한화의 경우는 선발). 물론 어느 팀이든 이 세 가지가 완벽한 경우는 없죠. 아무튼, ‘승리’는 선발투수를 평가하는 지표가 되고, ‘세이브’는 마무리 투수를 평가하는 지표인데 그럼 ‘불펜 투수’는 무엇으로 평가되어야 하나요? 이를 위해서 홀드가 나왔습니다.
- 일단 ‘홀드’는 다음 ‘세이브’요건을 그대로 따릅니다.
- 자기팀이 3점 이하의 리드를 하고 있을 대, 출전하여 최소한 1이닝을 투구,
- or 동점이 되는 상황에서 출전하여 막은 경우
- 최소한 3회를 (기록원 판단하에) 효과적으로 투구한 경우
- 단, 투수가 교체된 이후에 팀의 리드를 빼앗긴다고 해도, ‘홀드’는 그대로 유지된다(교체 시 루상에 있던 주자가 득점한 경우는 홀드로 인정되지 않음) 또한 홀드는 여러명에게 주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5회부터 3점의 리드 상황에서 9회까지 매이닝별로 투수가 바뀌었고, 리드를 지킨 경우, 마지막 이닝을 던진 투수에게는 세이브가, 이전의 투수에게는 홀드가 주어집니다.
- 일단 ‘홀드’는 다음 ‘세이브’요건을 그대로 따릅니다.
- BS(블론 세이브, Blown Save): 예전에는 blonde save라고 알고 있었던 제 참혹했던 시절이 기억나네요. 아무튼, 세이브/홀드 요건을 충족하는 상황에 교체되어 등장하여 투구 중에 역전을 허용하는 경우
- QS(퀄리티 스타트, Quality Start): 선발 투수가 6이닝 이상 투구하여, 자책점을 3점 이하로 허용한 경우,
- QS+(퀄리티 스타트 플러스, Quality Start+): 7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 식 선수
- TBF(상대 타자 수, Total Batters Faced): 타자 입장에서의 타석(타수 아닙니다!)과 동일합니다. 이닝 대비 상대 타자수가 적다는 이야기는 아웃을 잘 잡는 지표 정도로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 싶긴 한데, 다른 지표가 많으니 무의미하죠.
- IBB(고의사구, Intentional Base on Balls): 투수가 타자를 의도적으로 볼넷으로 출루시키는 경우 를 말합니다. 중요한 상황(상대의 득점권)에서 타자가 안타를 칠 것 같을 때, 그냥 볼넷으로 출루해서 거르고 다음 타자르 상대하는 것이 더 이득인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고의사구가 발생해서 출루한 타자의 다음 순번은 자신을 무시했다는 생각에 화가 나지만, 어쩔수없습니다.
- BK(보크, Balk): 네, 저는 아직도 보크가 어려운데요. 쉽게 말하면, ‘루상에 주자가 있을때’ 투수가 부정행위를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루상에 주자가 없으면 보크를 해도…음 의미가 없군요). 보크시에는 모든 주자가 한 루씩 더 진루하게 됩니다. 타자를 위한 규정이 아니라, 주자를 위한 규정입니다.
- 보크가 되는 경우
- 투수판에 중심발을 대고 있는 투수가 투구와 관련된 동작을 일으키다가 투구를 중지하였을 경우
- 투수판에 중심발을 대고 있는 투수가 1루 또는 3루에 송구하는 시늉만 하고 실제로 송구하지 않았을 경우
- 투수판을 딛고 있는 투수가 베이스에 송구하기 전에 발을 똑바로 그 베이스 쪽으로 내딛지 않았을 경우
- 투수판에 중심발을 대고 있는 투수가 주자가 없는 베이스에 송구하거나 송구하는 시늉을 하였을 경우. 단, 플레이에 필요하다면 상관없다.
- 투수가 반칙투구를 하였을 경우 (예: 타자가 자세를 갖추기 전에 투구하는 경우)
- 투수가 타자를 정면으로 보지 않고 투구했을 경우
- 투수가 투구판을 밟지 않고 투구와 관련된 동작을 취하였을 경우
- 투수가 불필요하게 경기를 지연시켰을 경우
- 투수가 공을 갖지 않고 투수판을 밟거나 걸터섰을 경우, 또는 투수판에서 떨어져 투구에 관련된 시늉을 했을 경우
- 투수가 정규의 투구자세를 취한 후 실제로 투구하거나 베이스에 송구하지 않고 공에서 한쪽 손을 떼었을 경우
- 투수판에 중심발을 대고 있는 투수가 고의 여부에 관계없이 공을 떨어뜨렸을 경우
- 고의4구를 진행중인 투수가 포수석 밖에 나가 있는 포수에게 투구하였을 경우
- 투수가 세트 포지션으로 투구할 때 완전히 정지하지 않고 투구하였을 경우
- 음, 정리를 하면 대략 다음 정도가 아닐가 싶습니다.
- 투수판에 중심발을 대었을 때는, 던져야 한다. 시늉만 하면 타자나 주자를 기만하는 것으로 해석
- 반칙투구(타자 준비 전에 투구)를 하거나, 타자를 정면으로 보지 않고(예를 들어 측면을 보거나) 던지거나, 투구판을 밟지 않고 던지거나, 중간에 정지를 하여 타자를 헷갈리게 하거나 등등의 경우 에도 보크를 선언…
- 야구는 ‘투수놀음’입니다. 공을 던지는 리듬도 투수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그래서 투수는 야구의 흐름을 끌고 가고 있는 선장의 입장에서 집중하여 그 상황을 지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상황에 직면한 타자에게도 매너가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그 상황을 적절하게 끌고 나가지 못했을 경우, ‘보크’를 선언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 No-hitter(노히트노런): 선발투수가 안타를 한 개도 허용하지 않고, 완봉승(KBO) 혹은 완투(MLB)를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볼넷을 매이닝 마다 세개씩 줬지만 안타는 없고, 실점이 없다면 KBO에서는 노히트노런을 획득했다고 할 수 있네요. 예전에는 노히트노런에서 ‘Run’이 도루인줄 알았는데, 득점이라는 것도 이거 정리하면서 알았습니다 하하핫.
- Perfect game(퍼펙트 게임): 노히트노런의 경우는 출루는 괜찮은데, 퍼펙트게임의 경우는 출루도 시키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사사구, 실책출루도 안되요. 타자가 루를 어떤 식으로든 밟으면 안된다는….어려운 기록이군요.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