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투수를 방어율로만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1 분 소요

물론 방어율은 매우 중요합니다.

  • 학부 시절 친구가, 자기는 이번 학기 학점이 선동열 방어율이라고 했었습니다. 네, 전성기 방어율요. 이제는 ‘방어율’이라는 말보다는 ‘평균자책점’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는 것 같기는 하지만 어쨌든 그랬다고 합니다.

  • ERA(평균자책점/ 방어율, Earned Run Average): 타자를 파악하는 가장 일반적인 지표가 타율이라고 한다면, 투수에게는 평균자책점(평자 라고 많이 부르죠)이 있습니다. 투수가 9이닝 당 내주다고 생각되는 평균 자책점을 의미합니다.
    • 계산법: 자책점 / 소화 이닝(잡은 아웃 하나당 1/3이닝)
    • 만약 등판했는데 한 개의 아웃 카운트도 잡지 못하고 자책점을 얻고 내려간다면 ERA는 무한대가 됩니다만, 99.9라고 표시하는 것 같습니다. 갑자기 한기주 선수가 보고싶네요.
  • RA9(9이닝당 평균 실점, Run Allowed per 9 Innings Pitched): ERA와 다른 점은 비자책점도 포함한다는 것이죠. 흐음. ERA에서는 비자책점은 무시하기 때문에, “수비의 영향으로 인한 실점을 제외한, 순수한 투수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RA9 같은 경우는 수비로 인한 실점도 포함하기 때문에, 한 선수의 능력만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투수+수비)의 능력, 즉 한 팀의 능력을 평가한다고 볼 수 있겠네요. 그런데, 이건 그냥 경기당 평균 실점만 계산해도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흐음.

  • WHIP(이닝당 출루 허용률, Walk plus Hit per Inning Pitched): 투수가 한 이닝당 선수들을 볼넷이나, 안타 등으로 얼마나 출루를 시키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데드볼은 빠지지만, 고의사구는 포함됩니다. 데드볼이 빠지는 건 좀 이상하군요. 데드볼도 경기의 일부인데.

  • OAVG/OOBP/OSLG/OOPS(피안타율, 피출루율, 피장타율, 피OPS): 타자의 지표를 그대로 투수에게 적용한 것을 말합니다. 투수가 타자와 직면한 상황들(타수)를 기준으로 발생하는 안타, 출루, 장타, OPS를 계산해 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대충 이런 해석이 가능하겠네요.

    • OAVG는 낮은데, OSLG가 높은 투수: 매번 직구를 꽂아넣어서 잘 안 맞지만, 맞으면 장타가 잘 되는 투수
    • OAVG가 높은데, OOBP는 낮은 투수: 많이 얻어맞기는 하는데, 볼넷은 잘 안 주는 투수

  • FPct(수비율, Fielding Percentage): 수비수가 수비 기회 중 아웃 처리에 성공한 비율. 즉 실책이 있으면 이 값이 낮아집니다(실책 수가 분모에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 이것은 해당 야수의 능력을 명확하게 평가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 계산법: (자살 + 보살) / (자살 + 보살 + 실책)
    • 예를 들어 실책 횟수를 높이고 싶지 않아서, 무리하게 수비하지 않는 선수들, 공에 손을 잘 안 대는 선수들은 실책 수가 별로 없고, 따라서 항상 수비율이 1.0이 될 수 도 있습니다.
  • RF(9이닝당 평균 수비 성공 개수, Range Factor): 앞서 말한, Fielding Percentage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분모를 이닝으로 대체하였습니다.
    • 계산법: (자살 + 보살) / 이닝 수 *9
    • 물론 이 지표의 경우도 한계는 있습니다. 만약 해당 팀에 말도 안되는 유격수가 있고, 유격수와 2루수의 콤비 플레이로 인해서 2루수는 자살의 수가 늘어나서 RF가 함께 증가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런 경우에는 자살과 보살의 비율과 유격수와 비교해서 데이터를 확인하면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reference

댓글남기기